[숭실대학교] 마이크로디그리(MD) 이수 관련 안내
마이크로디그리(MD) 이수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. (해당 내용은 숭실대 학생들에 한해서만 해당됩니다!!!)
1. 마이크로디그리(MD) 정의
→ 세분화된 전공을 짧은 기간동안 이수하는 소단위 교육과정으로,
최소 이수인정 학점(9학점) 이수 완료 시, 숭실대학교 총장 명의의 마이크로디그리 인증서를 발급해주는 제도
→ 차세대반도체학과에서 운영하는 마이크로디그리는, 본교 SSU-PATH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마이크로디그리와는 별도로 운영됩니다.
해당 마이크로디그리는 본교 '다전공 필수이수제' 유형의 마이크로디그리에 포함되지 않으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2. 마이크로디그리(MD) 과정: 부문별 및 난이도별로 총 26개 과정 운영
가. 부문: 일반, 소자·공정, 회로·시스템, 시스템·SW, AI반도체
나. 난이도: 일반, 초급, 중급, 고급, 전문, (실무)
3. 이수 요건
→ 차세대반도체학과 교양/전공 교과목 중, 과정별 해당 교과목으로 9학점 이상 이수
→ 과정별 해당 교과목은 아래 링크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.
※ 링크 1) POLARIS 홈페이지 → 학위학사 안내 → 개설교과목(https://semicon.disu.ac.kr/academic/curriculum)
※ 링크 2) POLARIS 홈페이지 → 게시판 → 숭실대학교 공지사항 → 교육과정 안내(https://www.disu.ac.kr/community/notice?md=v&bbsidx=6873)
★ 이수요건 충족 후, 이수증 발급은 별도로 신청하셔야 합니다.
4. (★★ 중요 ★★) 이수기준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가. 부문이 다른 교과목 교차 수강시, 일반 부문 마이크로디그리 수여
- 반도체공정실습(소자·공정) + 아날로그집적회로설계(회로·시스템) + SoC구조및설계(시스템·SW) : 일반 부문 마이크로디그리 수여
나. 부문별 공통 교과목 수강 시, 원하는 부문의 마이크로디그리 선택 가능
- 생활속의반도체(소자·공정, 회로·시스템, 시스템·SW) + 반도체제대로이해하기(소자·공정, 회로·시스템) + 반도체센서로바라보는세상(소자·공정, 회로·시스템)
→ 소자·공정, 회로·시스템 中 하나의 부문으로 마이크로디그리 발급 가능
다. 난이도가 다른 교과목 교차 수강 시, 하급 난이도의 마이크로디그리 수여
- 기초반도체물리(소자·공정,회로·시스템/초급) + 반도체장비의이해(소자·공정/ 중급) +_ 반도체공정실습(소자·공정/ 고급)
→ 소자·공정부문 초급 마이크로디그리 발급 가능
※ 교양과목의 경우 초급 난이도의 MD가 아닌 일반 난이도의 MD 대상 과목입니다.
라. 기신청한 과목으로 추가 마이크로디그리 수여 및 변경 불가
- 생활속의반도체(일반) + 반도체공정실습(고급) + 아날로그집적회로설계(고급)이수하여 일반부문 일반 마이크로디그리 수여 후, SoC구조 및 설계(고급)을
이수하더라도 일반 부문 고급 마이크로디그리 수여(변경) 불가
- SoC구조 및 설계 이외 고급난이도 2과목을 추가적으로 이수하여야 고급 마이크로디그리 수여 가능
마. MD 발급에 사용한 과목은 학위 이수에 중복 사용 가능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5. 마이크로디그리 이수를 위해 차세대반도체학과 전공 교과목 수강 시, 성적증명서 상 이수구분
※ 같은 교과목을 수강하더라도 학생별로 인정되는 이수구분이 상이하니, 학과사무실을 통해 꼭 확인바랍니다.
가. 차세대반도체학과 부/복수/연계/융합/심화전공 이수 중인 학생이 차세대반도체학과 전공 교과목을 수강하는 경우
1) 해당 교과목이 학생 소속학과 주전공 학점으로 인정 가능한 교과목일 경우
→ 주전공 이수구분으로 우선 인정 (※ 이후 필요 시, 차세대반도체학과 다전공 이수구분으로 변경 가능)
2) 해당 교과목이 학생 소속학과 주전공 학점으로 인정 불가한 교과목일 경우
→ 차세대반도체학과 부/복수/연계/융합/심화전공 이수구분으로 인정
나. 차세대반도체학과 마이크로디그리만 단독 이수 중인 학생이 차세대반도체학과 전공 교과목을 수강하는 경우
1) 해당 교과목이 학생 소속학과 주전공 학점으로 인정 가능한 교과목일 경우
→ 주전공 이수구분으로 인정
2) 해당 교과목이 학생 소속학과 주전공 학점으로 인정 불가한 교과목일 경우
→ 일반선택 이수구분으로 인정
▶▶문의: 숭실대학교 차세대반도체학과 (02-829-8223~6, disu@ssu.ac.kr)